어느 강의. 그는 교육공학을 전공한 사람이라고 했다. 교수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만약 교수라면 정말 큰일내겠다고 생각했고, 행동과 말이 엄청나게 불편했다.
"오늘 강의 너무 열심히 들으셔서...제가 준비한거 안써도 될 것 같아요. 강의 열심히 들으시면 칭찬스티커 붙여드리려고 가져왔거든요. 아이들도 교사도 이거 붙여주면 훨씬 열심히..."경악...!!!!!
무슨 돌고래도 아니고 사람에게 먹이줘서 통제하려 드냔 말이다.
철학없는 교육...그게 한국의 교육이란게 참...큰일이다.
초등학교에서는 칭찬통장이란걸 만들어서 아이들에게 나눠준다.
칭찬통장은 칭찬스티커가 모여 있다. 약속한 마일리지가 쌓이면 청소면제권이나, 일기면제권으로 교환한다. 아이들은 칭찬스티커가 있으면 한다. 이젠 누가 볼때만...보상이 있을 때만...한다. 주도성을 최저치로 만들고 싶다면...지금 당장 칭찬스티커를 꺼내서 붙여라. 그럼 쉽게 가능하다. 그리고 오늘 하루의 통제가 쉽다. 대신 아이들은 자발적으로 무엇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타인은 경계의 대상이 되고, 나만 칭찬받을 것을 찾아나서기 시작할 것이다. 그 칭찬이 없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게 훈련된다. 아주 차근 차근 쌓여간다.
(그 강사는 책읽고 공부할 시간이 없다면...60분짜리 EBS다큐프라임이라도 좀 봤으면...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큐는 어느정도 억지가 있기 마련이지만 최소한 그런 노력이라도 했다면 엄한소리 늘어놓진 않을 듯하다. 다큐프라임에서는 실험집단을 놓고 칭찬스티커를 통해서 동기가 사라진 아이들을 보며 부모의 한탄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2. 또 같은 강사의 이야기다. 어느 맹학교의 교육환경에 대한 이야기였다. 맹학교의 교실은 어떻게 생겼을까요...라는 질문을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대답은 맹학교의 교실도 똑같겠지요. 어차피 그 아이들이 성장해서 다른 사람들과 섞여 살려면 같은 환경에서 교육받고 살아야 하는 것이 아니겠어요? 라고 누군가 대답했다. 옳거니...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강사의 이야기기에 토할 뻔 했다.
"제가 예전에 어떤 맹학교에 가서 환경에 대한 조언을 주고 왔어요. 그 교실환경은 정말 다른 교실과 똑같았어요. 맹학교 아이들은 보지 못하기 때문에 잘 듣을 수 있게 만들면 됩니다. 그런데 뒤에는 그림이랑 사진도 붙어 있고, 보통 교실과 똑 같은 것이 문젭니다. 교육환경은 학습자의 상황에 맞춰야 하는 것이 상식인데 그런게 안지켜지고 있는 겁니다"또 경악했다.
맹학교의 환경을 보았다면서 정작 학습자인 맹인의 환경을 보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시각장애인중에는 전맹도 있지만 저시력학생들도 상당수다. 시작장애인 유도블럭이 노란색인 이유는 진출색(난색계통)을 사용해서 쉽게 구분하게 만든거다. 이게 상식이다. 저시력학생들이 존재하는 한 교실에는 시각경험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더구나 첫번째 대답이었던 장애인이 사회에서 비장애인과 동일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듣기만을 고려한 교실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말은 무식하기 짝이 없는 발언이다. 너무 당당하게 말해서 소름이 쫙 끼쳤다.
3. 예전에 어떤 선생님이 말했다.
"저는 아이들에게 벌로 청소를 시키지 않습니다. 모두가 나눠해야 하는일이 벌이 되었을 경우 그 일이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이에요"이런게 교육자의 철학이다.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 당연히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싫다 좋다의 선택이나 쿠폰같은것과의 교환조건을 만들어서 안된다. 대체 면제권을 줘서 얻는게 뭐라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 칭찬통장은 그래도 개인이 본다. 초등학교 교실에 가면 무슨 보험설계사들의 실적 그래프 같은 것이 주욱 붙어있는 것을 자주 본다.
이게 교육의 현실이다.
기본적으로 교육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얼마나 한국사회의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믿음도 기대도 없다. 마주치지 않고 살고 싶을 뿐이다. 뭔가 논리적 글쓰기가 안된다. 그 강의에서 들은 내용때문에 감정이 격해져서 그러는 것 같다.
더 못쓰겠다.
오늘은 요기서 끝. 휴...
댓글 없음:
댓글 쓰기